공식출처: www.vmspace.com 2011년 4월 18일에 게재된 기사임.
제가 객원기자로 활동했던 때의 흔적입니다. 제가 올린 기사에서 거의 고치지 않고 이뿐 사진만 더해서 올려주셨습니다. ^^
주소: http://www.vmspace.com/2008_re/kor/sub_emagazine_view.asp?category=interior&idx=11236&pageNum=1
HotelMISSONI Kuwait; design review March 2011
3 What appear to be mirrored walls, do they in fact belong to doors? How did you catch the mirrors’ combination with the lights?
사진 3 거울벽이 문의 일부인가? 거울과 빛의 조합은 어떻게 캐치했나?
The timber-framed mirror in the centre is a feature on a solid wall. The mirror on the right is a sliding door to the wardrobes, and the mirror on the left is a hinged door to more storage. This hallway is at the back of the room plan, and an opaque glass door between the mirrors on the left leads into the main bathroom.
The idea is to enliven the space by bouncing natural light and reflect the views over the Gulf. It gives the room guest a constant reference to the clear and uninterrupted views of the ocean and the sky. Maximising natural light and opening out otherwise enclosed spaces is a recurring theme in the design.
중앙부의 목구조 거울은 벽 매스의 특징 중 하나이다. 오른편 거울은 옷장으로 통하는 미닫이 문이며, 왼편 거울은 추가 수납공간으로 통하는 경첩이 달린 문이다. 이 복도는 객실 평면도에서 뒤편에 위치하며, 왼편 거울들 사이 불투명한 유리문은 주 욕실로 이어진다.
자연광의 반사광선으로 걸프만(페르시아만)의 풍광을 비추고 공간에 활기를 돌게 한다는 컨셉이다. 이를 통해 객실 손님은 바다와 하늘의 투명하고 방해받지 않는 경관을 항상 볼 수 있다. 자연광을 최대화하고 다른 경우였으면 폐쇄된 채로 있었을 공간들을 열어 두는 것은 이번 설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이다.
5 In the bathroom, the storage space and the door (to the shower booth?) have the same long, rectangular pattern. With cool pastel colours what kind of mood did you try to achieve?
사진 5 욕실에서 수납공간과 (샤워부스로 통하는?) 문은 똑같이 긴 사각형 패턴을 지니고 있다. 쿨한 파스텔 컬러로 어떤 종류의 분위기를 만들어내려 했는가?
The proportions of these elements are exaggerated to add to the feeling of elegance within the bathroom. The enclosing walls to the right of the bath are full height opaque glass, so the mood with the colours and the diffused quality of the lighting from beyond is for tranquillity and calmness.
A great many hotel rooms have such small internal bathrooms, with no natural light and very cramped plan layouts. The ideas here were very much opposed to this oppressive sensation, and much more about openness, and a sense of space and luxury, and bringing in natural light.
이러한 요소들의 비례는 과장된 것으로서 욕실 내 우아한 느낌을 강조하려 했다. 욕조 오른편을 둘러싼 벽들은 불투명한 통유리로 이루어졌으며 색깔과 저편 조명이 스며들어온 느낌은 서로 조화되어 고요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낸다.
많은 호텔 객실 내부에 있는 욕실은 작고 자연광도 들어오지 않으며 평면 레이아웃도 서로 너무 밀착해 있다. 여기서 우리의 컨셉은 이러한 압박감과 상반되게 열린 느낌을 지향했으며 공간감과 럭셔리감을 만들어냈고, 자연광의 유입을 사용했다.
6 This bathroom has different colours? What kind of sentiment did you try to stimulate in terms of mass? The towel rail on the shower booth wall strikes me as “clear” design: What was your purpose?
사진 6 이 욕실은 다른 욕실과 색깔이 다른 것 같은데 매스 측면에서 어떤 느낌을 촉발하려 했는가? 수건걸이는 “투명한” 설계인 것 같다. 어떤 목적이었는가?
There are five different and distinctive colour palettes within the Guest Room finishes schemes, with one for each of the Suite types. This particularimage is for the “Maggore” Suite.
The partition is clear glass rather than a solid material as this helps to open up the space visually, and to feel less contained. This also allows the play of lighting and colour to pass through to the shower area.
객실 마감 색 배치는 각 스위트룸 유형에 대응하는 5개의 서로 다르고 뚜렷이 구별되는 형국이다. 이 사진은 “Maggore” 스위트룸에 해당하는 것이다.
칸막이는 불투명 자재보다는 투명 유리를 사용해 공간에 시각적으로 열린 감을 부여하고, 어딘가에 들어가 있는 느낌을 줄이려 했다. 이는 이 공간을 통과해서 샤워 공간으로 갈 때 조명과 색감이 상호작용할 여지를 부여한다.
7 How big is the bathtub in comparison to the bathroom in picture 5?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oling and heating method?
사진 7 욕조는 사진 5의 욕실과 비교해얼마나 큰가? 냉난방방식에서차이가있나?
The built-in bath tub in Image 7 is standard full length but in addition has deep vertical walls for maximum relaxation experience. The free-standing tub in Image 5 is a double-bather. The heating supply services are the same standard provision.
사진 7의 빌트인 욕조는 표준형태의 1인용(? Full length) 통으로 되어 있으며 더불어 최대한의 휴식 경험을 위해서 깊은 수직벽으로 꾸며져 있다. 사진 5의 지지대 없는 욕조는 2인용이다. 난방 공급 서비스는 똑같이 표준으로 제공된다.
12 The lamp looks Asian. Up to how much was the usage of the lamp unified in the whole hotel? Also, the sofa looks both tropical and autumn leavish. What kind of impression did you try to make?
12 이 사진의 등은 동양적으로 보인다. 호텔 전체에서 이등사용은 얼마만큼 통일되었는가? 또, 소파는 열대적이면서 가을 단풍같기도 하다. 어떤 종류의 인상을 주려고 했나?
The conical pendant light is called Cheope SP, by Vetreria Vistosi, who are based in Venice, Italy. The manufacture is blown glass.
The contoured sphere pendant is called Mamamia, by Antonangeli, from Milan, Italy. It is manufactured from nine metal rings with gold leaf finish.
Both of these fittings also feature at some considered strategic locations within the Public Areas of the Hotel, such as in restaurant booths and in private dining areas, and over the bar counters, giving reference to a continuity of language of the finishes. It creates the idea of iconic elements which then become recognisable ‘signature’ pieces for the Hotel Missoni brand identity.
The fabric on the sofa is a Missoni design called “Costa Rica v.59” The bright, organic colours and floral pattern were chosen by Mrs Rosita Missoni to reflect the inspiration of the blue skies, sunshine and waters of Kuwait.
뿔 모양의 펜던트 조명은 Cheope SP라고 하며 이탈리아 베네치아에 근거 작업하는 Vetreria Vistosi의 작품이다. 유리를부는 작업을 통해 만들었다.
윤곽선이 그려진 구 펜던트 조명은 이탈리아 밀라노 안토난젤리가 만든 Mamamia라고 하며금 잎사귀로 마감된 9개의 금속링으로 만들었다.
이 두 끼움장치는 식당 부스, 식당내 개인적인 모임실, 바에 설치된 카운터 등 호텔의 공공지역 내 전략적 위치에 대한 배려로 설치되어 마감재언어의 지속성에 대해 알 수 있게 한다. 호텔 미소니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해 알릴 수 있는 ‘시그니처’ 가구로 대변되는 (? Become) 아이콘 요소라는 개념을 창조한다.
소파의 섬유는 미소니 디자인으로 “코스타리카 v. 59”라는이름을 지니고 있다. 밝고 유기적인 색깔과 꽃패턴은 로시타 미소니 부인이 직접 골라 쿠웨이트가 주는 파란 하늘, 햇빛, 물의 영감을 반영하도록 만들었다.
14 The two desks are making an effect of opposition? What kind of effect did you want to achieve?
사진 14 두 책상은 대비효과를 지니는 것 같은데 어떤 종류의 효과를 얻고 싶었나?
The reception stations sit side by side in harmony, to give the Hotel guest the individual service of the staff. The proportions and height of the units are deliberately down-scaled, to create a feeling of open approach and friendly greeting. The effect is also to reflect the warmth of the Italian personality and good hospitality.
리셉션 두 개가 나란히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는 호텔 투숙객에게 각기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이 유닛들의 비례와 높이는 일부러 스케일을 작게 해서 열린접근성과 친근한 인사의 느낌을 주려 했다. 또한 이탈리아 고유의인성(? personality)과 환대의 따뜻함을 주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16 Did the lobby include a mezzanine floor? The vertically long light and the sofa that goes uphill comfortably from the floor are in balance. How was this idea born?
사진 16 로비에는 중층이 있었는가? 수직으로 긴 조명과 바닥면으로부터 편안히 위로 올라가는 소파는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 아이디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The mezzanine floor, which in Image 16 is hidden behind the chandelier light, is part of the Cucina Restaurant. This upper area overlooks the Hotel entrance and Main Lobby, which is a space of 9metres in height. This creates a visual dynamic between the different spaces, and also acts as a social conduit to enliven the arrival environment.
There are 3 fringe-clad chandeliers, each 8 metres in length, hanging down from the ceiling. The effect of the cascading lights helps emphasise the volume of the Lobby, while at the same time adding scale to the space.
The arrangement of sofas and over-sized rugs are very much seen as set-pieces, with the vertical linear of the chandeliers off-set with the horizontal linear composition of the seating pattern. There is also a reference to the influence of the fashion cat-walk, and the effect of perspective. The concept was developed in 3-dimensional renders rather than on plan format, as articulating the volume is the key to designing this space.
중층은 사진 16에서는 샹들리에 조명 뒤에 숨겨져 있는데 Cucina 식당의 일부이다. 이 상층구역에서는 9미터 높이의 공간인 호텔의출입구와 메인로비가 내려다보이는데 이 점으로 인해 서로 다른 공간들간에 시각적 동학을 만들어내며, 들어오는 손님에게 다가오는 환경에 활기를 띠게 하는 사회적 전달자 구실을 한다.
가장자리에 재료를 씌운 각 8미터 길이의 샹들리에 3개가 천장으로부터 내려오고 있다. 폭포처럼 층층이 흘러내리는 빛의 효과는 공간에 스케일을 더하는 동시에 로비의 크기를 강조한다.
소파들과 대형양탄자(카펫)의 배치는 기성형식(세트피스)로 보이는 경향이 짙은데, 샹들리에들의 수직선이 좌석패턴의 수평선구성으로 상쇄된다. 또한 패션캣워크의영향을 엿볼 수 있고, 원근법/전망(perspective)이 주는 효과도 있다. 이 콘셉트는 평면도보다는 3차원렌더링으로 개발되었는데, 매스의 표현이 이 공간의 설계 핵심이기 때문이다.
17 What is the usage of this long, round sofa?
사진 17 이 길고 둥근 소파의 용도는 무엇인가?
This image shows the entrance to the Business Centre within the Hotel from an adjoining Shopping Mall. The scale of the curved seating, and the use of the fringe-clad chandelier over a floor inlay panel of mosaic tile, is to help emphasise the spatial hierarchy of this Lobby area. The mosaic pattern is taken directly from another Missoni fabric design.
The wall behind the sofa is also curved, and this set-piece composition of colour and form signifies the start of this particular route into the Hotel. An area for seating also helps to animate the space with the noise and movement of visitors.
이 사진은 호텔내에서 인접한 쇼핑몰로부터 비즈니스 센터로 출입하는 입구를 보여주고 있다. 곡선을 그리는 좌석의 스케일, 모자이크 타일로 된 무늬를 새긴 바닥패널 위에 재료를 씌운 샹들리에를 드리운 것 등은 이 로비 공간의 공간적 위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준다. 바닥패널의 모자이크 패턴은 또 다른 미소니 섬유디자인으로부터 바로 참고한 것이다.
소파 뒤벽도 곡선형이며, 이러한 색깔과 형태의 세트피스 구성은 호텔내로 이어지는 이 특수한 루트의 시작을 의미한다. 좌석을 위해 지정된 구역은 호텔방문객들이 내는 소리와 그리는 동선으로 공간에 활기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19 What was the concept of the bar?
사진 19 바의 콘셉트는 무엇이었나?
Image 19 shows the arrival into the Choco Café. Beyond the curved glazed façade on the right of the image, there is an external terrace of teak decking and undulating stonework walls of raised planter beds, containing palms and cacti. This ‘desert garden’ environment was central to Missoni in the development of the Choco Café in its colours and its forms. The bar counter also follows these ideas, with the curved segments representing a reference to flower petals and the curves of the building.
사진 19는 초코카페로 들어서는 출입구 부분을 보여준다. 사진 오른쪽의 곡선형 유리파사드 저편에는, 티크재 바닥을 층을 올려 만든 외부테라스, 그리고 야자수와 선인장화분을 올려 만든 화단들을 세운 물결치는 돌담들이 위치한다. 이 ‘사막정원’ 환경은 색깔과 형태면에서 미소니가 초코카페를 개발하는데 중심되는 면이었다. 바 카운터 또한 이러한 개념을 따라 꽃잎을 의도적으로 닮은 만곡된 요소들과 건물곡선들을 사용한다.
20 As a whole, the colour scheme of the restaurant, along with the stripes and division wall, has the effect of modernism of the US.
사진 20. 전체적으로 식당의 색채계획과 줄무늬, 간막이벽은 미국의 모더니즘 효과가 있는 것 같다.
The Missoni environments are very much about the use of colour and pattern, and how these work together with the architectural forms to enhance the environment of a series of very social spaces. Also very tactile spaces and surfaces, reflecting Missoni’s love of colour and passion for challenging juxtapositions of form and tone. The Hotel is about good hospitality, quality of service and embracing the warmth of the Italian style.
Many of the spaces, including the Cucina Restaurant in Image 20, exploit the potential of perspective, which was evident in the form of the existing building structure. The spatial dynamic of the sweeping curve rather than a straight linear form was a rich source of opportunity.
미소니 브랜드의 환경들은 색깔과 패턴의 사용을 중요시하며 그러한 요소들이 건축형식과 어떻게 조화되어 매우 사회적인 일련의 공간들의 환경을 강화하는지도 문제가 된다. 또한 매우 촉각적이고 입체적인 공간들과 표면들은 미소니의 색깔 사랑 그리고 형식과 톤의 대담하고 전에 찾아보기 힘들었던(? challenging) 병치구성에 대한 열정을 반영한다. 미소니호텔은 진실한 환대, 서비스의 질, 따뜻한 이탈리아 스타일의 포용을 생각한다.
사진 20의 쿠치나 레스토랑을 포함한 이 호텔의 많은 공간들은 원근법/관점(perspective)의 잠재력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잠재력은 기존의 건물 구조의 형식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즉 직선형태보다 큰 곡선이 그리는 공간적 동역학을 풍부하게 마음껏 이용했다.
21 Did the tableware belong as a set? How far between were the bar and the big table?
사진 21 식기는 세트를 이루고 있나? 바와 큰 테이블 간의 거리는 얼마나 되었는가?
Each Restaurant and Café outlet within Hotel Missoni has its own individual tableware set, carefully composed in harmony with the colours and patterns of the respective finishes and fabrics, including linen ware. There are a further series of different tableware sets designed for special business and banqueting events.
The table seating is comfortably set back over 2metres away from the bar counter, which is clad on all sides with gold mosaic.
호텔 미소니 내부의 각 레스토랑과 카페매장은 각기 개별적 인식기세트가 있는데 이들은 (식사용 천 냅킨과 식탁보 등 까지 포함해서) 각 마감과 섬유의 색깔 및 패턴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특수한 비즈니스 및 파티행사를 위해 디자인된 식기 세트 시리즈도 따로 있다.
테이블의 좌석 배치는 4면에 금모자이크를 입힌 바 카운터로부터 2미터 이상 떨어진 뒤편에 되어 있다.
'My stories in Kore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돌이 된 연무동 길고양이 (0) | 2022.06.18 |
---|---|
Spring, Summer, Autumn, Winter (0) | 2021.07.27 |
아일랜드 어학 연수 (0) | 2020.12.09 |
현실 우화 (0) | 2020.12.09 |
소꿉놀이와 6.25 (0) | 2020.12.09 |